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얼마 전에 현대문학사의 세계문학 단편선 중 윌리엄 포크너의 단편들을 읽었는데 한 작가의 단편들을 집중해서 읽어나가는 것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러디어드 키플링의 단편들을 읽어보기로 했는데 이 책도 굉장히 매력적이네요. 작가가 나고 자란 대영제국의 식민지 인도를 배경으로 하는 어둡고 기괴한 분위기의 초기작들과, 영국과 미국을 비롯한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발표한 인간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는 다양한 성격의 중, 후기의 작품들이 실려 있어서 흥미롭습니다. 키플링의 작품들은 일단 풍부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고 인간심리나 자연의 묘사에도 뛰어나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왕이 되려 한 남자’가 가장 인상에 남고, 그 외에도 뛰어난 작품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서 많은 분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영미권 최초, 역대 최연소 노벨문학상 수상자
정글북 의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원시적 상상력, 뛰어난 영감으로 힘차게 박동 치는 삶을
독창적인 언어로 창조해 낸 천재 이야기꾼

영미권 최초, 역대 최연소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의 단편선이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스물여섯 번째 권으로 출간되었다. 정글북 의 저자로 국내에서는 아동문학가로만 널리 알려져 있으나 키플링은 20세기 영문학에서 빼놓아서는 안 될, 문학적 성취를 이룬 위대한 작가이다.

원시적인 상상력에 뛰어난 영감으로 힘차게 박동 치는 삶을 독창적인 언어로 창조해 낸 그의 작품은 단어의 질감을 살린 풍성한 언어와 완벽한 은유로 문학에 ‘혁신’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전쟁, 사랑, 고통, 상실, 유령, 공상과학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인간의 보편적인 모습을 심오하게 통찰해 왔다. 이 단편선에서는 키플링 단편 선집 중에서 소개되는 빈도가 높은 40편을 먼저 추린 다음, 거기서 지나치게 군대 이야기나 종교 이야기에 편중된 것들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핵심이 되고 문학성이 높은 단편 25편을 선정해 담았다. 이처럼 많은 작품을 수록한 키플링 단편선은 이 책이 국내 최초이다. 그리고 단편에 따라서는 작품의 앞뒤에 시나 희곡이 인용되어 있는데, 기존의 번역서에서는 이를 빼놓은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작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또 작품의 해석에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하여 이 단편선에서는 꼼꼼히 살렸다. 또 생략과 함축의 기법으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키플링의 단편에 대하여 ‘옮긴이의 해설’과 ‘노벨문학상 시상 연설’까지 담아 키플링의 작품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백 가지 슬픔의 문
‘무서운 밤의 도시’
모로비 주크스의 기이한 사건
수두의 집에서
무하마드 딘의 이야기
경계 너머로
드라이 와라 요우 디
슈샨의 유대인들
왕이 되려 한 남자
짐승의 표시
길가의 코미디
매애, 매애, 검은 양
그린하우 언덕의 추억
교회의 승인 없이
덩컨 패러니스의 꿈
배서스트 부인
‘그들’
‘딤처치 야반도주’
다정한 개울
‘잘 치워지고 정돈된’
메리 포스트게이트
정원사
참호의 마돈나
소원의 집
알라의 눈

옮긴이의 말 - 키플링, 20세기 영국의 가장 위대한 단편소설 작가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노벨문학상 시상 연설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연보

 

마이크 놀이동요

마이크 놀이동요 애들 책을 구입한 건 이번이 처음인 듯합니다. 특히나 이런 책은... 음... 근데 여러모로 이 책... 살짝 조잡하게 느껴진... ㅠㅠ 고급지지 않어... 크게 뭘 바라진 않았는데... 플라스틱 마이크만 봐도... 저게 진짜 마이크 구실을 해 줄까 하는...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건 아닌가 싶기도... 그만큼 저렴하게 사긴 했죠... 50%였던가 했으니까요. 조카가 잘 사용해 주면 좋겠는데... 어떨지 모르게습니다. 아, 올케도 이걸

poirh.tistory.com

 

어느 날 목욕탕에서

어떤 선생님이 담임 선생님이 될까?새 학기가 되면 아이들은 저마다 설레는 마음을 안고 학교로 향합니다. 어떤 친구들을 만나게 될지, 담임 선생님은 어떤 분일지 궁금하지 않은 아이들이 없을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함께 웃고 놀 친구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담임 선생님입니다. 지금껏 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부모님의 보살핌을 받던 아이는, 학교에 입학하면서 새로운 사회로 발을 내딛게 됩니다. 이때 부모님의 역할을 대신하여 아이들이 믿고 의지할 버팀목이 되어

jsah.tistory.com